한파 타는 C.O.L.D 업종을 아시나요?
운송·유통상점·보험·외식 ‘울고’, 의료·관광·홈쇼핑 ‘웃는다’
한파가 불어닥치면 운송(Carriage)·유통상점(Offline store)·보험(Life Insurance)·외식(Dining)업종은 피해를 입고 의료·관광·홈쇼핑은 매출증가 등 상대적으로 혜택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300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상변화가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 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올겨울 한파와 폭설로 기업경영에 영향을 받은 적이 있었는가?’라는 물음에 46.7%의 기업이 ‘피해가 있었다’고 말했고 ‘혜택이 있었다’는 기업도 5.0%에 달했다(피해나 혜택 모두 있었다 2.2%). 기업의 50.5%는 영향이 없었다고 답했다.
한파는 주로 항공·운송업, 오프라인 유통업, 보험업, 외식업 등 이른바 C.O.L.D 업종에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항공·운송업은 전체의 85.7%가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고 다음으로 보험(73.7%), 외식(70.0%), ‘오프라인 유통상점’(60.9%), ‘생활용품·화장품’(47.6%), ‘섬유·의류’(45.0%), ‘문화’(44.4%), 순으로 조사됐다. 혜택을 입은 업종은 ‘보건·의료’(50.0%), ‘관광’(20.0%), ‘TV홈쇼핑 등 무점포 유통(8.7%)’ 순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 “한파나 폭설로 인한 결항, 낙상·교통사고 등이 늘면서 항공·운송, 보험, 외식업 등이 경영에 차질을 빚는다”며 “하지만, 설경을 즐기러 오는 외국인들로 바빠진 관광업계와 안방쇼핑의 대표인 TV홈쇼핑, 인터넷쇼핑 등은 때아닌 특수를 누리기도 한다”고 분석했다.
피해기업들의 63.6%는 ‘매출감소를 경험했다’고 응답했고 ‘원자재 수급이나 제품배송 등의 물류차질’을 지적한 기업은 32.9%였다. 다음으로 ‘국가전력난에 따른 간접피해’(18.9%), ‘폭설로 인한 시설 파손’(17.5%), ‘안전사고나 품질불량 증가’(16.8%), ‘원자재 가격 상승’(9.8%) 등이 꼽혔다.<복수응답>
실제로, 비누와 세제를 만드는 A사는 지난번 영하 17도의 한파로 중요한 생산설비가 동파됐다. 복구하는데만 꼬박 하루가 걸렸다. 회사 관계자는 “매일 재고없이 팔려나가는 우리 회사 입장에서는 하루 매출이 날아간 셈”이라며 “이상기후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밝혔다.
갑작스런 폭설로 무더기로 예약이 취소되기도 했다. 예약률 100% 고공행진을 이어오던 한 뮤지컬의 주관기획사는 때아닌 폭설로 피해를 입었다. 밤사이 두텁게 내린 눈으로 하루아침에 예약률이 80%까지 뚝 떨어진 것. 회사 관계자는 “기획사뿐 아니라 연기자와 스텝까지 시쳇말로 멘붕이었다”며 “공연이나 영화는 뚜껑을 열어봐야 안다지만 이상기후까지 불어닥치면 큰 타격”이라고 말했다.
매서운 한파에 미소를 지은 기업도 있었다. 추운 날씨탓에 소비자들이 바깥쇼핑을 줄이고 뜨끈한 아랫목에 옹기종기 모여앉아 TV홈쇼핑을 즐기기 때문. B홈쇼핑은 “매서운 찬바람이 불었던 올 겨울은 매출이 예년 겨울에 비해 10%이상 올랐다”고 밝혔다.
한파나 폭설 외에도 폭염, 태풍, 가뭄 같은 기상이변이 자주 발생하면서 날씨정보가 기업의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대응수준은 미미한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적으로 날씨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물은 질문에 56.7%의 기업은 ‘피해를 입는다’고 말했고 10.6%는 ‘혜택을 받는다’고 말했다(피해와 혜택 모두 0.9%, 영향없음 33.6%)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계절은 언제인가’를 묻는 질문에 기업들은 여름(55.9%)과 겨울(41.3%)을 꼽았다. 봄이나 가을은 2.3%, 0.5%에 불과했다.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기상이변은 ‘한파나 폭설’(87.8%), ‘태풍이나 홍수’(79.1%), ‘폭염’(36.2%), ‘황사’(12.2%) 순이었다
매출증대나 비용절감을 위해 날씨정보를 기업경영에 활용하고 있는지를 물은 질문에 기업의 50.5%는 ‘활용중’이라고 답했고 5.3%는 ‘현재는 활용하지 않지만 향후 활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반면 ‘활용계획이 없다’는 기업도 44.2%에 달했다. 업종별로는 항공·운송 기업의 92.9%가 ‘날씨를 기업경영에 활용중’이라고 답했고 문화컨텐츠업은 88.9%, 건설업도 75.0%로 그 비중이 높았다.
활용기업의 89.9%는 ‘기상청 날씨정보만 확인하는 수준’이라고 답했다. 날씨별 매출·생산·재고 관리시스템을 갖고 있거나(6.9%) 민간기상업체를 활용하고 있는(3.2%) 기업은 10.1%에 불과했다. 이들의 활용부문도 고객서비스(38.9%), 마케팅(31.5%), 물류관리(29.6%) 등에 집중되어 있었다. ‘원자재 수급이나 재고관리시 기상정보를 이용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는 기업은 전체의 10.6%에 불과했다. 기업의 74.8%는 ‘기상이변에 대한 마땅한 대비책도 없다’고 말했다.
기업들의 기상정보 활용도를 높이고 기상이변에 대비하기 위한 정책과제로는 ‘정부와 산업계간 기상재난 대응체계 구축’이라는 응답이 51.8%로 가장 많았고 ‘기상정보의 정확성 제고’(33.6%), ‘기상산업의 지원과 육성’(14.6%) 등을 꼽았다.
대한상의 박종갑 상무는 “기상이변이 자주 발생하면서 기업에게 있어 날씨는 유가나 환율, 금리만큼 중요한 경영변수로 자리잡았다”며 “기업은 날씨경영을 통해 기상이변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새로운 수익기회도 창출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우리보다 60배나 큰 기상시장을 갖고 있는 미국은 4만여개 일자리를 이 시장에서 만들어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