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11-26 16:45 (화)
[보도그이후]임금, 어찌하오리까?
[보도그이후]임금, 어찌하오리까?
  • 황보연 기자
  • 승인 2004.11.0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언제부턴가 일부 대기업 노동자들의 고임금이 언론의 도마 위에 올랐다.
현대자동차는 대표적인 기업 중의 하나다.
임금소득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가 1에 가까워질수록 이런 뉴스는 더 선명하게 부각되곤 한다.
물론 지니계수가 1998년 0.280에서 지난해 0.312로 커져 소득 양극화 현상이 심각해진 것만은 분명한 사실이다.
문제는 비판의 잣대가 그리 분명하지도 공정하지도 않다는 점이다.
왜 그들이 그런 임금을 받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보다는 단순한 고임금 시비에 그친 적이 더 많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노조가 고임금을 조성하는 ‘주범’이라는 데 더 비중을 두려는 악의적 보도도 자주 눈에 띄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은, 도대체 달라진 환경에 걸맞는 임금체계는 무언지에 대해 독자들의 궁금증을 싹틔우고 싶은 충동감에 휩싸였다.
‘임금은 짠밥순이 아니어야 한다’는 기사의 출발은 여기서 비롯됐다.
이것은 고임금 노동자들에 대한 무분별한 비판도 아니요, 그렇다고 성과급 임금체계에 대한 막연한 동경도 아니었다.
오히려 분명한 것은 노동계 내부에서조차 연공급 임금이 비정규직 양산과 노동자들 간의 임금 격차를 심화시키고 있다는 제기가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었다.
그런데 예상 외로(?) 취재 결과는 너무나 초라했다.
해당 직무의 가치에 따라 임금을 지급하자는 직무급 임금제도는 그럴싸해 보이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문제는 한국 사회의 현실이었다.
‘동일노동 동일임금’이라는 마냥 거창한 구호를 외치기엔, 뭔가 꺼림칙한 측면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때마침 일부 은행에선 임금제도를 둘러싼 노사간 줄다리기가 팽팽했다.
그런데 정작 그 협상의 테이블에서 엿보인 것은 어떤 임금체계를 도입할 것이냐에 대한 진지한 논쟁보다는, 그동안 쌓일 대로 쌓여온 노사 양쪽의 불신이었다.
불신이 제거되지 않는 이상 진정한 논쟁이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초라한 취재 결과를 이런 식으로 변명하고 싶진 않았지만, 현실의 장벽은 너무도 크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