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11-26 16:45 (화)
[인적자원(HR)] 일과 가정생활의 조화 추구한다
[인적자원(HR)] 일과 가정생활의 조화 추구한다
  • 김원기 기자
  • 승인 2007.05.0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산성 올리는 가족친화 경영은 선택 아닌 필수 가정의 달인 5월을 맞아 ‘근로생활의 질’(Quality of Working Life)을 높이기 위한 ‘일과 가정생활의 조화’(Work & Life Balance · WLB)에 대한 기업과 인적자원 관련업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부 대기업과 금융기관 중심으로 진행되던 ‘직장과 가정생활의 조화’경영이 이제 중견기업으로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기업들은 재택근무, 조기퇴근제 등 근무 형태의 다양화와 종업원과 가족 대상 복지후생 프로그램 제공 등을 WLB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
일부 인적자원(HR) 전문가들은 “국내 기업에게 ‘가족 친화적 경영(Family Friendly Management)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이라고 강조한다.
우수 인재 확보와 직원에 대한 동기부여, 이를 통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직원의 요구에 부응하는 ‘일과 가정의 조화’ 경영은 불가피하다는 인식이다.
정부도 저출산ㆍ고령화에 따른 여성, 중고령자 등 신규 인력의 충원을 국가적 과제로 인식하고 직장과 가정생활의 양립을 지원하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강구하고 있다.
확산되는 ‘가정 친화’ 경영 유한킴벌리, 대웅제약, KT 등 대기업은 물론 중견기업까지 가세해 직장과 가정생활의 조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정부 관계자는 밝혔다.
실재로 통신장비제조업체인 네오웨이브는 종업원이 가족과 함께 연극, 뮤지컬 등 공연을 보는 ‘해피 아워(Happy Hour)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또 한 달에 한 번씩 조기 퇴근하는 탄력근무제도인 ‘해피 패밀리 데이(Happy Family Day)’를 통해 일과 가정의 조화를 도모하고 있다.
동문건설의 경우 출산 축하금과 자녀 양육수당 지급 등을 통한 가족친화 경영을 구현하고 있다.
이 회사는 첫째 아이를 낳으면 100만원, 둘째와 셋째는 각각 300만과 500만원의 출산 축하금을 준다.
둘째와 셋째에게는 매달 10만원, 50만원의 양육지원비도 지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의 가족친화 경영을 선도한다는 평을 듣는 유한킴벌리는 생산직 4조 2교대제, 영업직의 현장 및 재택 근무제, 관리직의 출근 및 퇴근 시차제 등 다양한 탄력적 근무제를 실시하고 있다.
또 종업원과 가족들의 평생학습을 위해 전 사원에게 가족용 노트북을 지급하는 등 종업원 가족을 위한 지원도 실시하고 있다.
재택근무, 조기퇴근 등 방법 다양 대웅제약은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기 위한 ‘GWP (Great Work Place·훌륭한 일터 만들기)’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GWP는 종업원들이 경영진을 신뢰하고 일에 자부심을 느끼며 동료들 간에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것을 지향하는 활동이다.
또 종업원과 가족이 함께 하는 주말 프로그램과 다양한 동호회 활동도 벌이고 있다.
회사 안에는 체력단련실, 헬스케어실, 수유실 등 복지시설이 구비돼 있는데 이 또한 GWP활동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KT는 가족기념일 조기 퇴근제, 어린이 집 운영, 어버이날 초청 문화행사 등 다양한 가족친화 경영 활동을 벌이고 있다.
출산 장려금 지급, 수유실 운영은 물론 종업원들이 가족과 함께 하는 시간을 증대시키기 위해 가족간호 휴직제, 자녀 영어캠프 등을 운영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직원만족부’란 부서를 운영하고 있는데, 이 부서에서는 장례 지원단까지 둬 국민은행 직원과 가족의 장례 절차를 돕는 일도 마다하지 않고 있다.
이 은행 관계자는 “최대한 종업원들이 직장과 가정생활을 조화시킬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가정친화 경영, 생산성 향상에 기여 기업들이 직원의 ‘삶의 질 향상’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무엇보다 가족친화 경영이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해 실시한 조사자료(가족친화 경영 현황과 개선 과제)를 보면 조사대상 기업의 61.2%는 ‘가족친화 경영이 기업 성과를 올리는데 도움이 된다’고 대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반대로 ‘성과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응답 비중은 38.8%에 머물렀다.
기업성과에 도움이 되는 이유로는 ‘종업원 만족도가 높아져 생산성이 올라간다’(60.8%)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이직률이 낮아져 안정적 인력운용 가능’(26.1%) ‘기업이미지 개선으로 판매 증가’(5.6%)의 순으로 나타났다.
독일 헤르티에 재단의 경우 실증조사를 토대로 “가족친화 기업의 생산성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30%가량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힌 바 있다.
가족친화 경영이 더 관심을 끄는 것은 ‘저출산·고령화’라는 국가적인 문제를 치유하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는 저출산에 따른 기업 인력 부족 현상을 해소하는데 상당히 기여할 수 있는데, ‘일과 가정의 조화’ 경영은 바로 우수 여성인력의 사회진출을 돕는 ‘촉매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삼성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저출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여성의 근로환경과 관련된 사회·직장적 요인”이라고 지적하고 “여성이 가정과 직장을 양립할 수 있도록 경제 및 사회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신세대 종업원 중심으로 가치관이 다양해지며, 개인적이고 가정적인 삶의 만족을 희구하는 경향도 친가족경영 확산의 주요 배경을 이루고 있다.
아직 갈 길이 멀다 가족친화 경영은 직원만족도와 생산성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나 아직 많은 기업들은 이를 ‘남의 일’로 간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당장 먹고살기가 급한데 무슨 친가족 경영이냐라는 비판적 시각도 없지 않다.
이 같은 기업 인식은 정부 조사 결과에서도 입증된다.
노동부와 여성가족부의 지난해 조사를 보면 보육서비스 의무화 대상 사업장의 이 서비스 제공 비율은 37%로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탄력 근무제 등 가족친화적 근무제도 운영 기업도 10% 수준으로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기업들은 여성의 보육지원시설 등은 정부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기업의 경영사정이 좋은 기업은 자체적인 해결이 가능하나 대다수의 기업은 자력으로 이를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대한상공회의소 조사 결과를 보면 가족친화 경영실천과 관련해 ‘정부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고 대답한 기업은 10개사 중 1개사에 그쳤고, 9곳은 정부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대답했다.
기업들이 희망하는 지원은 '가정친화 프로그램 도입에 따른 경비지원'(46%)이 주류를 이뤘고, 그 다음은 ‘근로시간 유연화를 위한 법과 제도 개선(16.4%)’ ‘금융·조세상 인센티브 제공‘(16.2%) 등의 순이다.
LG경제연구원 관계자는 “기업에게 가족친화 경영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저출산 고령화 사회를 맞아 정부가 기업들이 가족 친화 경영을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법과 제도 를 정비하고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 다양한 지원방안 강구 중 노동부는 ‘일과 가정의 양립’을 촉진하는 기업 경영을 확산시킨다는 방침 아래 올해 안에 ‘남녀고용평등법’을 ‘남녀고용평등과 직장·가정생활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로 전면 개정하기로 했다.
이 개정법을 통해 배우자 출산휴가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를 도입하고 기업이 자율적으로 일과 가정의 양립문화를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앞서 지난 2월 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를 열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을 높이기 위해 탄력근무제 도입, 직장보육시설 설치 등 친가족 경영을 하는 기업에 인증서를 주고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가족친화경영 확산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 방안에는 인증서 부여는 물론, 중소기업 정책자금지원시 가점부여, 혁신형 중소기업 선정기준에 친가정경영 포함, 중소기업 재정지원사업에서 우대 등을 담고 있다.
김원기 기자 hikwk@economy21.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