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지방 건설업체들은 최근 신용등급이 크게 떨어지는 등 유동성 위기 소문이 확산되는 분위기다.
최근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올 들어 전국적으로 부도난 중견, 중소 건설업체는 71개에 달한다.
지난해에 100여개 업체가 도산했기 때문에 2년 사이 200여 업체가 무너진 셈이다.
문제는 연말까지 부도가 예상되는 중견 건설업체는 지난해의 수치를 훨씬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는데 있다.
그렇다면 건설업체들이 무너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가장 중요한 요인은 사업성과 주택 수요를 감안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사업을 확장했기 때문이라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그렇다고 모든 책임을 건설업체에 떠넘길 수는 없는 것도 사실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주택건설사업은 전국적인 호황이었다.
그러나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고 청약 과열에 투기세력까지 가세하면서 정부는 강력한 부동산 대책을 시행하게 되었다.
그 결과 부동산시장은 크게 둔화되었고, 특히 지방부동산시장은 오랫동안 침체기에 빠질 수밖에 없었다.
아파트 분양이 잘되는 경우라면 문제가 없지만 시장이 침묵하면서 분양단계에서 미분양 물량이 다량 발생하게 되고, 분양은 잘 되었더라하더라도 입주시점에서 분양가 이하로 시세가 떨어지면서 미입주 물량도 크게 증가했다.
모두 건설업체에게는 자금 상황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 것이다.
여기에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경쟁업체와 차별화를 꾀하면서 각종 금융지원과 발코니 확장, 기타 서비스 제공 등 건설업체로서는 수익을 최소화하고 다양한 혜택을 부여할 수밖에 없었던 것도 건설업체의 수익성을 떨어뜨리는 이유가 되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주택전문 건설사들의 부채비율이 급상승하고 있다.
영업상 현금 적자가 지속되면서 자체 차입금과 시행사에 대한 대여금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동일토건, 성원건설 등 주요 건설업체의 영업수익성이 떨어지면서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올 상반기 5.3%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6.9%보다 하락했다.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부채비율을 비롯한 전반적 재무구조도 악화되었다.
하지만 지금의 건설 경기 부진은 역설적으로 그동안 공들여 추진한 부동산 정책의 효과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부동산 정책의 수정과 건설경기 부양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부동산시장의 안정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지만, 이를 위해 건설 경기 자체를 죽이는 잘못을 범해서는 안 된다.
그래서 무엇보다 건설 부문의 시장 기능을 활성화해야 한다.
원활한 수급 조절을 옥죄는 과도한 시장 규제는 이제 필요에 따라 완화해야 한다.
당장 지방에서만이라도 세제와 금융 규제를 풀어주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들에게는 과도한 세금을 경감하고, 업체에게는 세제 지원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분양가상한제, 원가공개 등이 주택 수요와 공급을 원활히 연계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해 건설 경기의 불안을 심화시킨다는 지적에 대한 진지한 검토도 필요한 시점이다.
류양선 부동산전문기자 RINFO@paran.com
저작권자 © 이코노미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