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1-06 16:45 (월)
미국 반도체 공급망 재편 최대 수혜국은 ‘대만’
미국 반도체 공급망 재편 최대 수혜국은 ‘대만’
  • 김창섭 기자
  • 승인 2022.12.30 13: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 대만과 베트남으로 공급처 전환
미국 내 중국 반도체 비중 3분1로 급감
대만 점유율 9.7%→17.4%...베트남 9.1%
한국 점유율 ‘18년 11.2%→2021년 13.2%
미·중 디커플링에 따른 반사이익 크지 않아

[이코노미21 김창섭] 미국의 반도체 공급망 재편으로 가장 큰 수혜를 본 나라는 대만과 베트남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은 미·중의 디커플링에 따른 반사이익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8일 발표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에 따른 한국의 기회 및 위협요인’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우방국을 중심으로 반도체 공급망을 재편하면서 중국으로부터의 반도체 수입을 대폭 줄이고 대만과 베트남으로 공급처를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30.1%에서 2021년 11.0%로 급감했다. 이에 반해 대만의 점유율은 9.7%에서 17.4%로, 베트남의 점유율은 2.6%에서 9.1%로 크게 증가하면서 중국의 빈자리를 대체했다.

그러나 한국의 점유율은 2018년 11.2%에서 2021년 13.2%로 2.1%p 증가에 그쳐 미·중 디커플링에 따른 반사이익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미국은 전 세계 반도체 수요의 21.6%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 다변화뿐만 아니라 미국에 본사를 둔 대형 반도체 수요 업체의 공략을 위해서도 놓칠 수 없는 시장이다.

보고서는 “반도체 수출의 과도한 중국 의존 구조에서 탈피하고 새로운 수요처 확보를 위해 미국 반도체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가 필수적인 과제”라고 지적했다.

중국은 우리나라 시스템반도체, 메모리반도체, 반도체 장비, 반도체 소재 등 반도체 관련 품목의 최대 수출 대상국이다. 지난해 기준 한국의 반도체 관련 품목별 중국 수출비중을 보면 시스템반도체 32.5%, 메모리반도체 43.6%, 반도체 장비 54.6%, 반도체 소재 44.7%를 차지했다.

또한 보고서는 “주요국 대비 낮은 연구개발(R&D) 투자 비율 및 장비·소재의 높은 해외의존도가 한국의 반도체 경쟁력 확보에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기준 반도체 매출 대비 R&D 비율은 한국이 8.1%로 미국(16.9%), 중국(12.7%), 일본(11.5%), 대만(11.3%) 등 주요국 중 가장 낮았다.

보고서는 반도체 장비 및 소재의 특정국 수입의존도가 경쟁국에 비해 높아 공급망 교란에 취약한 구조라고 평가했다. 지난해 기준 수입금액 1만달러 이상인 반도체 장비 품목 80개 중 특정국 수입의존도가 90%를 상회하는 품목이 30개로 그 비중(37.5%)은 주요국 중 가장 높았다.

반도체 소재 분야에서도 특정국 수입의존도가 90%를 상회하는 품목의 비중은 한국(18.2%), 대만(16.7%), 미국(7.8%) 순이었다. 반면 중국과 일본은 0%였다.

보고서는 “설비투자 세액공제율 확대를 통해 반도체 기업의 투자를 유도하는 한편 장비·소재의 자립도 제고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미국은 반도체 시설투자에 25% 세액공제를 지원하고 있으며 대만도 지난 11월 반도체 연구개발 및 설비투자 세액공제 비율을 기존 15%에서 25%로 확대하는 ‘산업혁신법 개정안’을 발의한 상태다. 반면 한국은 반도체 설비투자에 대한 대기업 세액공제를 현행 6%에서 8%로 늘리는 데 그쳤다.

최근 메모리반도체 수요 부진으로 국내 반도체 기업의 설비투자 위축이 우려되고 있어 투자환경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인텔의 서버용 중앙처리장치(CPU) 신제품 출시 지연 및 세계경제 둔화로 메모리반도체 수요가 감소하면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재고자산이 급증한 상태다. 메모리반도체의 경쟁력은 과감한 선제투자에 달려 있으나 반도체 시황 악화로 주요 반도체 기업의 투자가 축소되고 있어 좀 더 적극적인 세제지원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도원빈 무역협회 연구원은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견제하고 하고 있는 지금이 미국 시장을 선점할 적기”라며 “단기적으로는 미국이 주도하는 공급망 재편 구도에 참여해 핵심 장비·소재 수급의 안정성을 강화하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연구개발 및 설비투자 지원을 통해 첨단기술 영역에서 초격차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코노미21]

삼성전자 오스틴 사업장.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오스틴 사업장. 사진=삼성전자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