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설 교수가 쓴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라는 책의 첫 장이 ‘웅녀라는 오래된 수수께끼’이다. 충남 공주의 곰나루에 얽힌 이야기가 먼저 나온다. 나무꾼이 암곰에게 잡혀 굴에서 동거하다가 아이를 낳는 데 나중에 나무꾼이 도망친다. 그러자 암곰이 쫓아가다 나무꾼이 강을 건너가 버리자 아이도 죽이고 스스로도 자살한다는 내용이다. 이후 그 강에 배가 자주 뒤집히는 일이 발생하자 사당을 지어 곰을 위로해주자 그런 일이 멈추었다는 이야기다. 그래서 금강(錦江)이라든가 공주(公州)라는 지명도 원래는 웅강(熊江)과 웅진(熊津)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금⦁공은 곰 발음이 전화된 것이다. 곰나루는 공주에서 청양으로 가는 도중에 있다.
조 교수는 러시아나 몽골의 동북쪽에 사는 에벤키족의 곰 신화를 이야기하면서 곰나루 전설과 유사하다고 한다. 에벤키족의 곰 신화가 곰나루 전설과 다른 점은 곰이 자살하지 않고 자식을 찢어 남자에게 던져진 쪽은 에벤키인으로, 남은 쪽은 곰으로 남았다고 하는 이야기다.
에벤키족과 단군신화의 곰이야기
단군 신화에서 곰이 모신(母神)적 존재로 나오지만 남산 단군 사당에 실제 곰은 모셔지지 않고 있다. 조 교수에 따르면, 단군 신화에서 곰은 대리모 역할 이상이 아니라고 한다. 그러나 에벤키족 신화에서는 곰이 시조모로서 토템적 역할을 한다. 어쨌든 에벤키족 신화와 한국의 곰 신화나 전설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조 교수는 단군 신화를 에벤키족이 고조선에 편입된 이야기을 나타낸다고 설명한다. 에벤키족이 고조선에 편입되면서 에벤키 족의 웅녀 이야기는 창조와 재생 능력을 잃어 자살할 수 밖에 없지 않았겠느냐는 것이다. 이처럼 신화는 많은 부분 실재 역사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수가 있다.
일본의 아이누 족이 곰을 숭배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에 관한 이야기는 조지 프레이저의 <황금가지>의 ‘신성한 동물의 살해’편에 잘 나와 있다. 그리고 일본어의 kuma(곰), kami(신(神))도 한국어의 곰에서 온 말이라는 주장을 펴는 학자도 있다. 이처럼 시베리아 등 대륙의 북동부, 한반도 그리고 일본이 곰 신앙으로 연결되어 있다. 동아시아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곰 신화가 한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고맙습니다’의 해석
우리나라의 “고맙습니다”의 어원도 곰에서 나왔다고 한다. 곰은 단군 신화에서 모신적 존재이므로 ‘고맙습니다’라는 말은 ‘당신은 곰과 같이 신과 같은 사람입니다“로 이해하면 좋겠다. 고맙습니다=당신은 신입니다=당신에게서 신의 은총을 받았습니다. 같은 해석이 가능하겠다. ”고맙습니다”라는 말을 자주 쓰고 싶다.
곰은 한자로 熊(웅)이다. 能(능)과 灬(화 火와 같음)의 조합이다. 能(능)은 곰의 원래 글자라는 설, 물속에 사는 곤충이라는 설 등이 있다. 위 아래로 있는 匕(비)는 앞과 뒷다리임은 확실하다. 본디 글자에서는 몸체가 있었지만 지금은 생략되었다. 厶가 머리 부분으로 볼 수 있고 月(육달월)은 龍(룡)에서처럼 입 같기도 하고 짐승이므로 月을 덧붙였을 수도 있다. 그래서 원래 곰을 의미한 能이 ‘능하다, 능력’의 의미로 쓰이자 火(화)를 더해 熊(웅)을 만들어 곰을 의미한다는 설이 대세이다. 곰이 호랑이와 달리 20일을 능히 참고 결국 인간이 된 것이므로 능하다는 의미로 썼다고 생각하면 편하겠다.
곰과 영어 Bear의 비슷한 의미
能의 옛날 발음은 耐(참을 내)와 같았다. 耐는 而(이)와 寸(촌)의 조합인 데 而는 머리를 삭발한 무당, 寸은 손이다. 손으로 무당을 시켜 굿 따위를 시키는 데 무당이 이를 잘 참고 행한다는 의미다. 需(구할 수)는 무당이 비를 구하는 기우제를 표현한 글자임을 보면 이해가 쉽다.
火(화)를 붙인 것은 곰을 희생제물로 써서 그렇지 않았나 생각해 본다. 토템이나 신을 살해하는 관습에 대해서는 역시 프레이저의 <황금가지>에 잘 나와 있다. 能에 心(심)을 더하면 態(모양 태)가 된다. 態度(태도) 등에 쓰이는 데 능히 할 수 있다는 적극적인 마음을 태도라 생각하면 되겠다. 罷(파할 파, 고달플 피)는 网(그물 망)과 能의 조합으로 그물에 걸린 곰이 도망치려고 애써서 ‘피로하다’, 마침내 도망쳐서 ‘파하다’는 의미가 된다. 革罷(혁파)할 때 破(깨뜨릴 파)를 쓰지 않고 罷(파)를 쓴다. 곰이 각고의 어두운 동굴 생활을 버텨서 곰의 가죽을 벗고(혁파) 인간이 된 것을 상상하기 바란다. 단군 신화에서 곰이 인내 끝에 여자 인간이 되어 아이를 낳는다고 하는 데 영어 표현도 비슷하다. Bear는 명사로 곰이다. 동사로는 ‘~을 낳다’ 뜻은 물론 ‘~에 견디다, ~이 가능하다’의 뜻도 있다.
能과 옛 발음이 유사한 글자들
能과 옛 발음이 유사한 글자로는 또 乃(이에 내)•任(맡길 임)•忍(참을 인)등이 있다. 乃는 활의 시위를 떼어내어 팽팽하게 당기지 않고 원래대로 느슨하게 풀어놓은 모습으로 ‘그대로’라는 의미에서 ‘곧’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任에서 壬은 대장간에서 쇠를 두드릴 때 쓰는 받침대인 모루(工)인 데 가운데가 매우 부푼 것이다. 모루는 강한 힘에 견뎌야 함으로 일을 해낼 수 있으므로 ‘맡기다’는 뜻이 된다. 忍은 刃(인)과 心(심)의 조합인 데 刃은 칼(刀)의 날 부분이 빛나는 것을 丶을 찍어서 나타낸 것으로 칼날이다. 칼날은 무수한 싸움에 잘 견디어야 하므로 ‘참다’는 의미도 포함한다. 거기에 心을 붙인 忍은 ‘참다•견디다’는 뜻을 갖는다. 가죽(革•韋)을 刃과 더한 靭(인)•韌(인)은 ‘질기다’는 뜻이다. 靭帶(인대)나 强靭(강인)에 쓰인다. 能(능), 任(임), 忍(인) 그리고 耐(내)는 옛 발음이 모두 유사하며 모두 ‘일을 능히 하다, 견디다’는 뜻이 있다.
얼마 전 MBC에서 ‘북극의 눈물’이라는 감동적인 다큐멘타리를 방영한 적이 있다. 얼음이 갈수록 녹아 북극곰이 먹이를 찾기가 더욱 어렵다고 한다. 북극곰이 겪는 고통은 결국 인간에게 되돌아 올 것이다. 인간과 곰은 운명공동체인 것이다. 아주 먼 옛날 동아시아를 살았던 사람들은 이를 일찍 깨달은 사람들이다. 곰이 인간이 되고 인간과 곰이 결혼하여 아이를 낳는다. 곰과 인간은 형제였던 것이다. 그리고 인간이 곰을 배신하고 도망쳤다. 지금 시대 인간의 배신은 무엇일까? 무분별하게 자연을 남용하여 환경이 파괴되고 지구는 온난화되어 결국 북극의 얼음이 녹는다면 곰은 죽고 말 것이다. E21
본 기사는 <이코노미21> 4월에 게재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