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이열치열과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일종의 동종요법(homeopathy)이다.
예를 들면 비소 중독 증상을 보이면 비소를 동종 약제로 만들어 투여하고, 심하게 불안하여 안절부절 못할 때는 유사한 불안을 일시적으로 경험하게 만드는 약을 투여하는 식이다.
한여름 몸에 뜨거운 열기를 느끼는 것을 하나의 질환으로 본다면, 이를 극복하기 위해 동종요법을 적용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우리는 보통 초여름에 시원한 국수나 냉면처럼 시원하고 칼로리가 낮은 음식을 선호하지만, 한여름 삼복더위에는 삼계탕이나 보신탕, 카레 같은 뜨겁고 칼로리가 높은 음식을 먹는 게 한의학적으로 오히려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한여름에는 더위에 적응하기 위해 우리 몸이 체외로 열을 발산한다.
이때 체내에 쌓였던 열이 체표를 통해 빠져나가므로 피부는 뜨거워지지만 실상 몸 속은 상대적으로 열을 빼앗겨 차가워진다.
이럴 때 빙과류나 찬 음식을 먹어 뱃속을 더욱 차게 만들면 결국 탈이 나게 마련이다.
오히려 따뜻한 음식이 인체의 밸런스를 유지해주는 비결이다.
음과 양의 조화라고도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름에는 적당히 땀이 나도록 몸을 움직이거나 운동을 하는 것이 건강에 좋다.
또 땀을 많이 흘리는 만큼 떨어진 원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삼계탕이나 매운탕 등 뜨거운 보양식을 먹는 것도 지친 체력을 보전하고 속을 따뜻하게 하는 데 중요하다.
여름철에 즐겨먹는 냉면을 봐도 몸에 열기를 북돋는 겨자를 넣음으로써 배탈이 나는 것을 예방한다.
한편 <황제내경>을 보면 ‘여름에는 밤 늦게 잠자리에 들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며 낮에는 태양처럼 부지런히 움직여라. 또 적당히 땀을 내고 마음의 평정을 찾아야 한다’고 돼있다.
이는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는 삶이 결국 질병을 이긴다는 진리를 내포하고 있다.
그런데 신체의 균형을 잃을 정도로 땀을 많이 흘리거나 설사로 탈수증세가 생기면 약제를 처방해 증상을 다스려야 한다.
인삼, 오미자, 맥문동 등으로 구성된 ‘생맥산’은 대표적인 보음제로서 효능이 뛰어나다.
가정에서도 더위에 지치지 않기 위한 나름의 비책을 준비해두어야 한다.
예를 들어 몸 속을 따뜻하게 하는 오미자나 대추 달인 물을 꾸준히 마시면 좋다.
그리고 운동으로 땀을 충분히 내면 몸 속의 체온이 유지되고 노폐물이 몸 밖으로 배설돼 산뜻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또 소매가 긴 옷은 햇볕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고, 지나치게 노출이 심한 옷은 피부를 상하게 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밤에 잘 때 배를 이불로 덮어 보온이 이뤄지도록 신경을 써야 함은 물론이다.
지는 해에 적당히 일광욕을 하면 비타민D가 생성되어 감기 예방에 도움이 된다.
민간요법 중에는 시원한 계곡물에 발을 담그는 ‘탁족’이 더위에 지친 이들에게 그만이다.
발은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찬물에 발을 담그면 온몸이 시원해지는 것을 쉽게 느낄 수 있다.
게다가 발에는 간장, 신장, 위장과 연관된 경혈이 모여있어, 그것을 자극하면 내장의 기능이 고무된다.
집에서 하는 ‘발바닥 샤워’로도 비슷한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이코노미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