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가 미국에서 일곱번째로 많이 사용하는 언어로 나타났다.
미연방 센서스국(www.census.gov)이 6일 발표한 ‘미국 내 언어 사용 현황’ 에 따르면 2011년 기준, 가정내 한국어 사용자는 112만여 명으로 집계됐다.
공식 언어인 영어 사용자는 2억2820만여 명이었고 스페인어가 3617만여 명으로 소수계 언어로는 가장 많았다. 이어 중국어(272만여 명), 타갈로그어(156만여 명), 베트남어(133만여 명) 프랑스어(132만여 명) 순이었다.
7위 한국어에 이어 독일어(110만여 명) 러시아어(85만여 명) 아랍어(81만여 명) 아프리카어(79만여 명)가 뒤따랐다. 이밖에 이탈리아어가 13위(74만여 명) 포르투갈어가 16위(68만여 명) 힌두어가 17위(60만여 명) 폴란드어가 18위(59만여 명) 일본어가 19위(45만여 명)로 각각 조사됐다.
전체 비영어 사용자는 1980년 2310만 명에서 2010년에는 5950 만명으로 158.2% 증가했다. 같은 기간 5세 이상 인구 증가(37.6%)와 비교하면 4배 이상 높은 수치여서 이민 인구 증가가 그만큼 많았음을 시사했다.
한국어 사용자는 1980년(26만6000여 명)에 비하면 327.1%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인구와 비교할 때 한국어의 비중은 1.9%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한국어 사용자 중 영어 숙련도는 ‘잘 한다’가 48만8000여명인 반면 ‘잘 못한다’는 이보다 15만 명 많은 63만여 명이었다. 상위권 국가 중 한국보다 ‘잘 못한다’의 비중이 높은 국가는 최근 이민자가 많은 베트남으로 각각 52만9000여명(잘 한다)과 80만여 명(잘 못한다)이었다.
중국은 ‘잘 한다’(122만여 명)가 ‘잘 못한다’(150만여 명)보다 다소 적었고 이민 역사가 깊은 일본의 경우, ‘잘 한다’(25만여 명)가 ‘잘 못한다’(20만여 명)보다 높아 눈길을 끌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영어를 잘 못하는 비율은 2000년 8.1%에서 20071년 8.7%로 상승했고 2011년까지 같은 비율이 유지됐다. 또한 영어 이외의 언어 사용률은 2000년 17.9%에서 2007년 19.7%, 2011년에 20.8%로 지속적인 상승 곡선을 그렸다.
2011년 비영어 사용자들은 6060만 명으로 집계된 반면 영어 사용자는 3억7600만 명이었다. 스페인어는 2005년 12.0%에서 2011년 12.9%로 증가했고 스페인어를 쓰지만 영어가 능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5.7%에서 5.6%로 약간 낮아졌다.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은 베트남어로 1980년부터 2010년까지 7배나 증가했다. 이탈리아 독일어 폴란드어 유대어 그리스어는 하향 곡선을 그렸다.
캐밀 라이언 센서스국의 통계학자는 “이번 조사 결과는 영어 이외의 언어 역할이 전국적으로 커지고 있다는 증거”라면서 “비영어 사용자들은 늘고 있지만 영어 사용자들이 정체되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연방센서스국, 영어-스페인어-중국어 順
저작권자 © 이코노미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