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소멸 위기감 커지며 귀농귀촌 정책의 중요성 더욱 부각돼
농촌생활 사전체험, 지역민과의 교류 등 내실있는 준비 지원해야
농촌생활 만족도 가장 낮은 분야는 ‘생활인프라’
귀농 5년 차 가구소득 농가 평균의 95% 달성 위해 5대 전략 제시
[이코노미21 임호균 기자] 지난 5년간 연평균 50여만명이 귀농귀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5년간(2016년~2020년) 연평균 49만2천여 명이 새로운 삶을 찾아 귀농귀촌했다. 또 향후 비대면 시대, 일·삶 균형(워라벨) 등의 분위기에 맞춰 귀농귀촌 흐름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지역소멸에 대한 위기감을 실감하는 지자체가 늘어나고 있어 귀농귀촌 정책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양질의 정보, 농촌생활 사전체험이나 지역민과의 교류 등 내실있는 준비를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과 농촌지역 환경·생활인프라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또한 가장 필요한 귀농귀촌 정책으로 정보제공, 체험·관계형성 등의 요구가 많았으며 농촌생활 만족도가 가장 낮은 분야는 ‘생활인프라’였다. 특히 귀촌인은 농촌에서의 일자리뿐만 아니라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여건이 갖춰지길 바라고 귀농인은 소득과 영농기술 향상을 위한 농업경영 지원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3일 귀농귀촌 사전 준비에서 정착까지 종합적인 지원 방안을 담은 ‘제2차(2022~2026) 귀농귀촌 지원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종합계획은 ‘농업이 밝아지는 귀농, 농촌이 젊어지는 귀촌’을 새로운 비전으로 설정하고 귀농 5년 차 평균 가구소득을 농가 평균의 95%, 귀촌 가구 생활 만족도 85%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5대 전략, 16개 과제 제시했다.
먼저 정부는 도시 내 농협 인프라를 활용한 준비 지원, 귀농귀촌 준비 커뮤니티 지원, 농촌 체험‧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농촌지역 내 취·창업 활성화, 지역의 사회활동 참여 지원, 지자체의 일자리 특화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귀농인 영농활동을 밀착 지원하기 위해 정부는 ‘영농 네비게이터’ 통한 영농 초기 컨설팅, 청년 귀농인 대상 영농정착지원금 확대 및 농지 우선 제공 등을 부여한다.
정부는 농촌의 거주환경 조성을 위해 농촌 공간 정비를 통한 매력적인 삶터 조성, 임대주택‧귀농인의 집 등 다양한 주거 선택지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귀농귀촌 단계별 정보·서비스 통합 제공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
종합계획은 ‘귀농어·귀촌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법정계획으로 5년마다 귀농귀촌 정책의 목표 및 기본방향을 설정한다. [이코노미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