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반대로 법정관리 불발될 경우 파산 가능성 높아
[이코노미21 임호균] 대규모 판매대금 정산 지연으로 촉발된 ‘티몬·위메프’ 사태가 기업회생 신청으로 새로운 국면에 진입했다. 구영배 큐텐 대표는 사재를 털어서라도 사태를 수습하겠다고 말했으나 반나절 만에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해 말을 바꿨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티몬·위메프가 법원에 기업회생 개시 신청을 함에 따라 자산과 부채 모두 동결돼 피해자들의 고통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기업회생 신청시 법원은 포괄적 금지명령을 내리는데 이 경우 법정관리 개시 결정 때까지 금융채권, 상거래 채권 등 모든 채권이 동결돼 판매자들은 미정산 대금을 돌려받지 못한다.
한편 채권단의 반대로 법정관리가 불발될 경우 티몬·위메프는 파산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에도 피해자들은 판매 대금이나 환불을 받을 수 없게 된다. 구영배 대표는 30일 국회 정무위원회 현안질의에 출석해 그룹이 동원 가능한 자금이 800억원이지만 당장 쓸 수는 없다고 말했다. 설혹 800억원을 당장 쓸 수 있다고 하더라고 이 금액으로는 현재 상황을 해결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정부가 추산한 판매자 피해 금액은 2134억원으로 당초 예상 1000억원보다 2배 이상 늘었다. 여기에 정산기한이 남은 6~7월 거래분을 포함한 8~9월 미정산 대금 규모까지 더해지면 피해 규모는 눈덩이처럼 커진다. 티몬 사무실에서 발견된 피해 금액 1조원 이상이라는 메모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여기에 31일 큐텐그룹 계열사인 인터파크커머스, AK몰도 정산 지연이 발생하면서 정부는 금융지원 규모를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상황으로 보면 티몬·위메프 사태는 해결될 가능성이 낮아 보인다. 법원이 아무리 채권을 조정해준다 해도 티몬·위메프의 모회사인 큐텐이 동원할 수 있는 자금 800억원으로는 최소한의 자구책도 마련할 수 없다. 현재 상황이 큰 변화없이 진행된다면 가장 큰 피해자는 소비자와 판매자들이 될 것이다. [이코노미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