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5-03-31 17:16 (월)
높은 집값에 대출 규제까지 겹쳐...전세금 부담 대신 월세로
높은 집값에 대출 규제까지 겹쳐...전세금 부담 대신 월세로
  • 임호균 기자
  • 승인 2025.02.10 17: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작년 4·4분기 월세비중 44.0%...전세 56.0%
작년 4·4분기 갱신계약 비중 31.6%까지 올라
계약갱신청구권 활용해 기존 월세 계약 연장

[이코노미21 임호균] 높은 집값에 대출 규제까지 겹치면서 높아진 전세금 부담으로 월세를 사는 경우가 늘고 있다. 최근 정부가 전세대출 규제까지 예고해 전세자금 마련은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1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4년 4·4분기 임대차 계약에서의 월세 비중은 44.0%(2만3657건)로 직전 분기보다 3.3%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 비중은 56.0%(3만112건)였다.

최근 비싸진 집값에 2023년 5월부터 오르기 시작한 전세값으로 인해 전세금 부담이 커지면서 월세로 이동하는 수요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출처=부동산R114
출처=부동산R114

 

부동산R114의 월세지수는 지난해 4·4분기 기준 144.47포인트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의 계약유형별 비중을 갱신계약 비중이 2023년 3·4분기 이후 증가세다. 특히 2024년 4·4분기 갱신계약 비중이 31.6%까지 올라 2년래 최대를 기록했다.

월세가격이 급증했음에도 갱신계약 비중이 더 빠르게 증가하는 것은 비싼 전세값으로 인해 수요자들이 신규 전세 및 월세 계약을 체결하기보다 계약갱신청구권을 활용해 기존 월세 계약을 연장한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이코노미21]

사진=이코노미21
사진=이코노미21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